인터넷 (웹 + 메일서버) 관련 서버
웹 | 메일과 인터넷의 양쪽 지원 | 메일 |
웹 서버 웹 서비스 제공 |
DNS 서버 도메인, IP 주소 관리 |
SMTP 서버 메일 송신 |
FTP 서버 파일의 전송, 공유 |
Proxy 서버 인터넷 통신의 대행 |
POP3 서버 메일 수신 |
SSL 서버 통신의 암호화 |
사용자 PC => DNS 및 Proxy 서버 => 웹 서버 네트워크
TCP/IP 프로토콜
현재 정보 시스템(웹서버)의 주류
TCP/IP 4계층 (내려갔다 올라가며 데이터 전달) | |
애플리케이션 계층 | HTTP, SMTP, POP3 |
트랜스포트 계층 | TCP/UDP |
인터넷 계층 | IP 주소 |
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층 | Wi-Fi, 유선 LAN, 블루투스, 적외선 |
IP(Internet Protocol) 주소
네트워크에서 통신 상대를 식별하기 위한 번호 (인터넷 상에서 컴퓨터 끼리 서로 호출하기 위해)
- IPv4 0~255 4자리 (2^32)
- IPv6 (2^128)
- 인터넷 상 서버 IP주소는 유일한 주소, 도메인명과 짝
MAC(Media Access Control) 주소
네트워크 내에서 기기를 특정하기 위한 번호 (디바이스가 갖고 있는 주소로 하드웨어가 인식)
- 2자리 수의 영숫자 6개 콜론(;) 및 하이픈(-)으로 연결
- IP 주소를 지정하여 OS내 IP 주소록을 바탕으로 MAC주소 확인
DHCP(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
네트워크 내에서 IP 주소 부여 역활
- IP 주소 범위나 유효기간등은 시스템 관리자가 서버를 통해 설정
- 일반적으로 동적할당
DNS(Domain Name System)
도메인 명과 IP 주소 연결 기능
클라이언트에서 도메인의 IP 주소를 요청하면 DNS가 해당 도메인의 IP주소를 반환
DNS 캐시 서버 | DNS 콘텐츠 서버 |
클라이언트 요구에 대응 | 대응표를 갖고 외부의 DNS에도 대응 |
(1차로 캐시에 있으면 응답) | (2차로 1차에 없으면 콘텐츠에서 캐시로 응답) |
- 메일 및 웹 서버 내 DNS 기능이 존재
- DNS 다중화 (프라이버리, 세컨더리 등 계층화 및 분기)
Proxy
인터넷 통신의 대행 기능 (기업이나 ISP의 네트워크 출입구)
- 방화벽 역활
- 접근자했는지 분석 불가
Proxy 서버 역활 | ||
클라이언트 PC... | Proxy 서버 | 인터넷 |
같은 사이트로의 접근 요구에 대해 첫 PC의 Proxy 캐시에 대응해서 이후 PC 부터 효율화 |
내부 네트워크와 인터넷 사이에서 접근의 중계 |
SSL(Secure Socket Layer) 프로토콜
인터넷상의 통신을 암호화
'Review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웹 구조] ch5. 웹 이외의 시스템 (1) | 2023.06.13 |
---|---|
[웹구조] ch4. 웹 보급과 확산 (0) | 2023.05.15 |
[웹구조] ch2. 웹 사이트 구조 (0) | 2023.04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