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들의 합
N개의 수로 된 수열 A[1], A[2], …, A[N] 이 있다. 이 수열의 i번째 수부터 j번째 수까지의 합 A[i]+A[i+1]+…+A[j-1]+A[j]가 M이 되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설명
첫째 줄에 N(1≤N≤10,000), M(1≤M≤300,000,000)이 주어진다. 다음 줄에는 A[1], A[2], …, A[N]이 공백으로 분리되어 주어진다. 각각의 A[x]는 30,000을 넘지 않는 자연수이다.
출력설명
첫째 줄에 경우의 수를 출력한다.
입력예제 1
8 3
1 2 1 3 1 1 1 2
출력예제
1 5
✔ 정답
import sys
sys.stdin=open("input.txt","rt")
n,m=map(int,input('').split())
a=list(map(int,input('').split()))
#시작 인덱스
ps=0
# 끝 인덱스
pe=1
# 총합 (초기에는 시작 인덱스 값)
total=a[0]
# 총합이 m과 같은 횟수
cnt=0
while True:
# 총합이 m보다 작으면
if total<m:
# 마지막 인덱스 pe 가 총길이 보다 작으면
if pe<n:
#총합에 a의 pe 번째 인덱스값 더하고 마지막 인덱스를 하나 증가
total+=a[pe]
pe+=1
# 마지막 인덱스가 총 길이보다 같으면 종료
else:
break
# 총합이 m과 같으면
elif total==m:
# cnt를 증가시키고 총합에서 첫번째 인덱스 ps의 값만큼 빼고 첫번째 인덱스를 증가
cnt+=1
total-=a[ps]
ps+=1
# 총합이 m보다 크면
else:
#총 합에서 첫번째 인덱스 ps 값 만큼 빼고 첫번째 인덱스를 증가시킴
total-=a[ps]
ps+=1
print(cnt)
📝끄적끄적
다시 이해해보기...
total-=a[ps]쪽이 이해가 안가네..
=> total은 항상 a[ps] 값으로 초기화 하는데, 첫번째 인덱스를 하나 증가시키면서, total 초기화도 같게 하기위해서 현재 a[ps]를 빼고 나서 ps에 1을 증기시킴!
💖 참고
'알고리즘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이썬] 재귀함수를 이용한 이진수 출력 (1) | 2022.03.23 |
---|---|
[파이썬] 스토쿠 검사 (0) | 2021.08.30 |
[파이썬] 두 리스트 합치기 (0) | 2021.08.28 |
[파이썬] 카드 역배치 (0) | 2021.08.27 |
[파이썬] 숫자만 추출 (0) | 2021.08.27 |